본문으로 건너뛰기

PCM과 라인 코딩

[PCM]: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

표본화[Sampling] - 1초에 몇개의 표본을 추출?

  1. 원래 신호의 최고 주파보다 2배 이상 샘플링 2F max이상
  2. 예) 최대 주파수가 3,400Hz인 음성은 초당 6,800회 이상
  3. 샘플링한 신호 [PAM] Pulse Amplitude Modulation 신호 PAM

양자화[Quantizing]

  1. 이산 값으로 계량화 (반올림) - n=8 이면 2^8 = 256
  2. 양자화 잡음 n이 크면 작아짐

부호화[Encoding]

  1. 양자화e된 신호를 2진 비트로 변환 - 많은 비트를 할당 시 정밀도 좋아짐
  2. 음성의 경우 8비트 할당

눈 패턴[Eye pattern]

  1. 심볼 간 상호 간섭
  2. 눈 패턴의 측정 방법 -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ISI를 실험적으로 측정

[DSU] 라인 코딩 :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

  • 라인코딩 >> 기저대역 전송

    1. 변조를 하지 않고 그대로 전송
    2. 동기화와 직류 성분 제거를 위하여 변형
  • 라인 코딩의 분류

    1. 단극형[Unipolar] : ==+V와 0==을 사용, 직류성분이 많아 거의 사용되지 않음
    2. 극형[Polar] : ==+V와 -V==를 사용
      • NRZ
        1. 비트 구간동안 0으로 돌아오지 않음
        2. NRZ-L
        3. NRZ-I NRZ-M NRZ-S
      • RZ
        1. 비트 1은 +V, 비트 0은 -V
        2. 비트 구간 동안에 0으로 돌아옴, NRZ에 비해 동기화에 유리하지만 대역폭 증가
      • Biphase
        1. 매 비트 구간의 시작점 또는 중앙에서 전압 레벨의 상태가 변화 > 자기동기화가 가능
        2. Biphase-L
        3. Manchester
        4. Differential Manchester
        5. Biphase-M
        6. Biphase_s
    3. 양극형[Bipolar]: ==+V, 0, -V== 를 사용
      • [AMI] 비트 0은 0 전압, 비트 1은 +V와 -V를 교대로 사용 양극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