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억장치(2)
1. 캐시 메모리 (Cache Memory)
캐시 메모리는 CPU와 주기억장치(DRAM) 간 속도 차이로 인한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고속 반도체 기억장치입니다.
1.1 캐시의 특징 및 동작 원리
- 고속성: SRAM 칩 사용, DRAM보다 빠름
- 용량 제한: 가격·공간 제약으로 용량 작음
- CPU 대기 시간 최소화: 주기억장치 접근 대기 시간 감소
캐시 동작
- 캐시 적중(Cache Hit):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있음
- 캐시 미스(Cache Miss): CPU가 원하는 데이터가 캐시에 없음 → 주기억장치에서 데이터 읽어옴
- 적중률(Hit Ratio, H):
H = \frac{\text{캐시 적중 횟수}}{\text{전체 액세스 횟수}}
- 평균 액세스 시간(Ta):
T_a = H \times T_c + (1-H) \times T_m
T_c
: 캐시 액세스 시간,T_m
: 주기억장치 액세스 시간
지역성(Locality) 원리
- 시간적 지역성: 최근 접근 데이터 재사용 가능성 높음
- 공간적 지역성: 인접 데이터 연속 접근 가능성 높음
- 순차적 지역성: 분기 없는 한 명령어 순차 인출
1.2 캐시 설계 목표 및 고려사항
- 목표: 적중률 극대화, 액세스 시간·미스 지연 최소화, 데이터 일관성 유지
- 크기: 용량↑ → 적중률↑, 비용·액세스 시간↑
- 인출 방식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