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타입, 변수와 연산자의 이해
데이터 타입 정의
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
- 컴퓨터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
- 저장할 데이터 타입을 지정
데이터 타입
-
정수형
-
정수를 저장
-
정수는 이진수로 저장
-
음수는 양수의
2의 보수
로 나타냄- 2의 보수
- 양의 정수로 바꿈
- 모든 비트를 바꿈
- 1을 더함
- 마이너스 무시하고 정수 2진수 변환 -5 → 5
- 1의 보수변환 0101 → 1010
- 변환한 보수 +1 1010 + 0001 = 1011
- 2의 보수
-
10진법 (0~9)
-
2진법 (0, 1)
-
8진법 (0~7)
-
16진법 (0~15)
-
-
실수형
부동소수점
표현- -11.625
-
문자(Character)형
- 한 문자를 저장할 때 사용함
작은 따옴표(’ ’)
안에 표시함- 대표적인 문자 코드로 ASCII 코드가 있음
-
불리안(Boolean)형
- 논리 자료형이라고도 함
- 참과 거짓의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할 때 사용
- 주로 0은 거짓으로 지정되어 있고, 0이 아닌 경우 모두 참임
- 숫자를 쓰지 않고
true
false
를 쓰기도 함
-
배열(Character String)형
-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함
큰 따옴표(” “)
안에 표시함